반갑습니다. 피터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음정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음정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신 분들은
이전 글을 한 번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음정을 분류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어요.
8도 이내의 음정은 홑음정 이라고 하구요, 9도 이상의 음정 들은 겹음정 이라고 합니다.
또한 아시는대로 1도 4도 5도 8도는 완전 음정으로 분류되고, 2367도는 장음정으로 분류가 되죠.
우리가 알고 있는 이 음정들을 어울리는 정도에 따라서 나누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협화음과 불협화음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협화음은 어울린다 라는 뜻이구요 불협화음은은어울리지 않는다 라는 뜻입니다.
협화음 중에서는 완전협화음이 있고 불완전협화음이 있어요.
완전협화음은 완전 1도 완전 4도 완전 5도 완전 8도
이 네 가지 완전음정을 말합니다.
그리고 불완전협화음은 어떤 것들이냐면요
장/단 3도. 장/단 6도 이 음정들이 불완전협화음입니다.
그리고 이 이외의 음정들.
장/단 2도. 장/단 7도.
그리고 감음정이나 증음정들 이런 것들은 다 불협화음 이에요.
여기까지가 우리가 인터넷이나 책으로 쉽게 만나볼 수 있는 내용의 전부입니다.
우리는 건반에서 음정을 한 번 봤기 때문에 우리가 좀 더 생각해야 될 부분들이 있어요.
완전협화음. 그러니까 음향학적으로 비율이 딱딱 맞아서 잘 어울린다고,
완전어울린다 라고 하는 이 음정들을 우리가 실제로 듣기에는 어떨까요?
들어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렇게 아름답게 들리진 않아요.
오히려 불완전협화음인 3도와 6도.
이런 음정들이 훨씬 더 아름답게 들리는 것 같습니다.
저 개인적으론 그렇습니다.
보통은 완전어울림화음보다는 불완전어울림 화음을 일반 사람들은 더 아름답다고 느끼는 것 같습니다.
그럼 불협화음은 어떨까요?
불협화음인 음정들만 따로 들었을 때는 아름답지 않고 무엇인가 불편한 느낌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불협화음도 충분히 그 기능이 있고 역할이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음정을 분류하는 방법 중에서 어울림 정도에 의해서 분류하는 방법.
즉 협화음과 불협화음.
협화음 중에서는 완전협화음과 불완전협화음.
그리고 불협화음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구요.
이번 글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